- HOME
정책간행물
[2022년 15호] (정책동향) 영국 '50년 제트제로(Jet Zero) 달성 전략 (英 DfT, 7.19)
- 담당부서 :동향조사연구팀
- 담당자 : 홍천택
-
연락처 : 02-3485-4033 - 분류 : 산업기술 동향워치
◎ 영국 교통부(DfT)가 ’50년 항공 분야 넷제로 달성을 위한 전략 체계와 조치를 수록한 ‘제트제로(Jet Zero)’ 전략 보고서를 발간
- 영국 항공(aviation) 산업은 ’50년 최대 탄소 배출 분야로 남게 될 전망으로, 항공 산업의 성장이 지구 온난화에 미치는 악영향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
- 제트제로 전략은 기후변화 대응뿐만 아니라 무역·관광·여행 산업 활성화에 있어 핵심 역할을 담당하는 항공 산업의 지속 가능한 미래 확보를 도모하기 위한 목적
◎ ’50년 영국 항공 분야의 탈탄소화를 최종 목표로 설정하고 이를 위해 향후 추진해야 할 3대 원칙과 6대 주요 정책 조치를 제시
※ 항공 부문의 배출 감소 경로를 설정하고 5년 검토를 통해 진행상황을 모니터링할 계획
▘영국 ’50년 제트제로 달성 목표와 주요 정책▗
구분 | 주요 내용 |
목표 | ∙ (항공 탄소 배출) ’50년까지 항공 산업 탄소 배출 넷제로인 ‘제트제로’ 달성 - (시기별 목표) 탄소 배출량을 ▲’19년 38.2 MtCO2e ▲’30년 35.4 MtCO2e ▲’40년 28.4 MtCO2e ▲’50년 19.3 MtCO2e로 단계적 감축 - (부문별 목표) ’40년 국내선 및 공항 운영의 넷제로 달성, ’25년 최소 5개의 지속 가능한 항공연료(SAF) 공장 건설, ’30년 SAF의 항공연료 비중 10% 달성 ∙ (항공 산업 비전) ‘제트 제로’ 이행 과정 중 SAF 산업발전을 통해 ’35년까지 5,200개의 신규 일자리 창출과 27억 파운드의 부가가치를 창출 |
3대 원칙 | ∙ (글로벌 리더십) 항공 산업의 탄소 배출량 감축을 위한 국제적 노력 선도 - 장기적·공격적인 탄소 배출 감축 목표에 대한 글로벌 합의 도출 - 국제항공탄소상쇄감축제도(CORSIA)* 강화, 글로벌 SAF 목표 도입 등을 위한 조치 지원 * Carbon Offsetting and Reduction Scheme for International Aviation - 국제항공기후목표연합(IACAC) 등의 글로벌 포럼을 통해 ‘뜻을 같이 하는 국가’와 협력 ∙ (제휴 강화) 항공 산업 관련 기관인 제트제로협의회(Jet Zero Council), 항공우주기술 연구소(ATI), 민간항공관리국(Civil Aviation Authority) 등과 협력해 탄소 감축 솔루션 개발·실험·구현·투자 진행 ∙ (기회 극대화) 경제 활성화, 신규 일자리 창출, 신산업 개발, 에너지 안보 국가 구축 도모 |
6대 정책 조치 | ∙ (시스템 효율화) 공항, 영공(airspace), 항공기 등 항공 시스템 효율성 개선 ∙ (SAF) 국내 SAF 산업 조성, 혁신 상업화, 녹색 일자리 지원, 에너지 안보 뒷받침 ∙ (무배출 항공기) 탄소 배출이 없는 새로운 형태의 항공기 개발 및 업계 도입 ∙ (온실가스 제거) ’50년까지 탄소시장 형성, 온실가스 제거 투자로 잔류 배출량 상쇄 ∙ (소비자에 영향 발현) 소비자들이 지속 가능한 항공 여행을 선택하도록 지원 ∙ (非 CO2 대응) 학계·업계와 협력해 非 CO2의 영향에 대한 이해 제고 및 완화 방안 모색 |
(참고 : Department for Transport, Jet Zero Strategy, 2022.07.19.)
* 관련링크
https://www.gov.uk/government/publications/jet-zero-strategy-delivering-net-zero-aviation-by-2050
- 다음글[2022년 15호] (정책동향) 세계 최초 탄소 신용평가 표준 발표 (中 증권일보망 외, 7.18)
- 이전글[2022년 15호] (정책동향) 영국 핵심광물 전략 (英 BEIS, 7.22)
- 담당부서 : 기술동향조사실
- 담당자 : 정휘상
- 연락처 : 02-6009-35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