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정책간행물
[정책브리프 2025-06] 기업의 AI 도입 현황 및 촉진 방안 분석
- 담당부서 :기술동향조사실
- 담당자 : 정휘상
-
연락처 : 02-6009-3593 - 분류 : 산업기술 정책브리프
* 해당 PPT 이미지는 AI 웹툴인 Gamma를 통해 생성 후 편집 및 재구성하였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기업의 AI 도입 현황 및 촉진 방안 분석
Ⅲ. 결론 및 시사점
📃주요내용
OECD는 AI가 생산성 정체를 극복할 핵심 기술로 부상함에 따라 G7 및 브라질 기업을 대상으로 AI 도입 현황과 저해 요인을 조사하고 정책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조사 결과, AI 도입률은 여전히 낮고 기업 규모가 클수록 도입 비율이 높았으며 도입을 가로막는 주요 요인으로는 숙련 인력 부족, 스킬 이해도 부족, 투자수익률 추정의 어려움 등이 지목되었다.
AI를 도입한 기업은 R&D 강화, 생산성 향상, 불량률 감소 등의 효과를 경험했으나 기업(특히 중소기업)은 전문 인재 확보와 기술 공급업체 접근에서 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기업들은 공공의 교육, 정보, 자문, R&D 보조금, 네트워킹 플랫폼 등을 지원하고 있었으며 정보 서비스와 AI 스킬 교육의 유용성이 특히 높게 평가되었다.
OECD는 기술 확산 기관의 역할에 주목하며 AI 기술 확장 서비스, 실무 교육, 오픈소스 제공, 자문 서비스 등의 메커니즘을 혼합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제안했다.
국내는 AI 활용 기업 비중이 낮고 산업·지역 편중이 있으며 ‘산업 AI 내재화 전략’의 이행률도 저조해 실효성 있는 정책 추진이 요구된다.
정부는 AI 관련 자격체계 개선, 공공 데이터 품질 및 접근성 향상, 중소기업 맞춤형 지원, 산업별 AI 실무 교육 확대 등을 통해 도입 저해 요인에 대응해야 한다.
특히 기업-대학 간 협력 활성화를 위한 명확한 가이드라인 마련과 지식재산권(IP) 관련 조율이 중요하며, 공공 플랫폼 기반의 정보 통합도 필요하다.
AI가 신성장 동력으로 작동하려면 기술 확산을 위한 공공 지원체계 강화와 성과 중심의 실증 사례 축적이 병행되어야 한다.
🔗원문링크
The Adop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Firms (EN)
📞문의
기술동향조사실 정휘상 선임연구원 (wsjung@kiat.or.kr)
* 한글 파일은 사용자의 시스템에 해당 폰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 글자가 깨져 보일 수 있습니다. 원활한 확인을 위해 가능한 PDF 파일로 열람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