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정책간행물
[2022년 21호] (산업·기술동향) 글로벌 위기 현상의 의미 및 신시대 진입 가능성 고찰 (McKinsey, 10.20)
- 담당부서 :동향조사연구팀
- 담당자 : 홍천택
-
연락처 : 02-3485-4033 - 분류 : 산업기술 동향워치
◎ 컨설팅 기업 맥킨지가 최근 발생하는 전 세계적 위기 현상과 불안정 유발 요소를 역사적·구조적 관점에서 조망하고 ‘새로운 시대(new era)’ 진입 가능성을 예측
- (배경) 지난 2년간 전 세계적으로 불확실성을 가중시킨 에너지 부족, 인플레이션 급등, 지정학적 긴장 고조 등이 향후 새로운 시대로의 진입을 예고하는 현상일 가능성 대두
- (전례) ’70년 오일쇼크는 에너지 위기와 인플레이션, 새로운 통화 시대, 자원 경쟁, 서구 국가의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였으며, 글로벌 정치·경제의 구조적 변화 요인으로 작용
- (특징) 최근 2년간 발생한 여러 글로벌 위기는 공급 측면에서 유발되었고, 글로벌 연계성이 높아진 상황에서 탄소 배출량 감축을 요구받고 있다는 점이 ’70년대와 근본적으로 상이
※ 오일쇼크 이후 발생한 ’97년 아시아 경제 위기, ’20년 닷컴 붕괴, ’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등은 수요 측면 위기의 성격이 강했고 특정 지역 또는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는 점에서 현재와 차별
◎ 맥킨지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현대사를 세 개 시대로* 구분하고, 최근 글로벌 위기 현상이 새로운 시대 진입을 앞둔 전조 현상인지의 여부를 진단하기 위해 다섯 가지 영역에서 ’20년 이전/이후 시대를 비교
* ’20년 이전을 ▲전후 경제호황기대(Postwar Boom, ’44~’71) ▲경쟁의 시대(Era of Contention, ’71~’89) ▲시장의 시대(Era of Market, ’89~’19)로 구분
- ’20년 이후를 ‘새로운 시대(The next era)’로 판별하기 위해서는 기술 플랫폼 등 5가지 측면에서 기존과는 차별적 특성이 포착되어야 한다고 강조
▘’20년 이후 새로운 시대 진입 여부 판정 요소·기준▗
구분 | 주요 내용 |
세계 질서 | ∙ (시장의 시대) 요소 비용에 대한 차익거래와 협력적 경제 규칙(rules)에 기반하여 ‘상호 연결된(interconnected)’ 세계 구축 ∙ (새로운 시대) 글로벌 연계성(connectedness) 기반의 다극화(Multipolar)와 양극화 (polarization) 확대 현상이 공존 |
기술 플랫폼 | ∙ (시장의 시대) 상호 연결된 디지털 발산형(digital emanation) 기술 중심 ∙ (새로운 시대) 횡단적 기술(transversal tech)이 부상하는 포스트 디지털 시대 |
인구 통계의 영향 | ∙ (시장의 시대) 전 세계적으로 건강·교육 수준이 제고된 소규모 도시 가족이 확산 ∙ (새로운 시대) 건강 개선과 사회적 불평등 감소로 ‘품위 있는 노화(Aging gracefully)’ 진행 |
자원·에너지 시스템 | ∙ (시장의 시대) 화석연료 채굴·사용이 가능하지만 기후 문제 발생 ∙ (새로운 시대) 자원 확보 경쟁 속에서 저탄소 에너지로의 비용 합리적 전환을 이행 |
자본화 | ∙ (시장의 시대) 수십억 달러의 글로벌 시장 경제 유입으로 수요-공급 충격, 대출 급증 발생 ∙ (새로운 시대) 막대한 부채 규모 속에서 글로벌 경제의 질서 있는 안정화 국면 진입 |
(참고 : McKinsey, On the cusp of a new era?, 2022.10.20.)
* 관련링크
- 다음글[2022년 21호] (산업·기술동향) ’23년 가트너 10대 전략 기술 동향 전망 (Gartner, 10.17.)
- 이전글[2022년 21호] (산업·기술동향) 글로벌 서비스 무역의 변화 고찰 (OECD, 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