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정책간행물
[2022년 20호] (산업·기술동향) ’22 글로벌 자동차 공급사슬 핵심기업 경쟁 백서 (Roland Berger, 9.16)
- 담당부서 :동향조사연구팀
- 담당자 : 홍천택
-
연락처 : 02-3485-4033 - 분류 : 산업기술 동향워치
◎ 경영 컨설팅 기업 롤랜드 버거가 ’21년 글로벌 및 중국 시장의 자동차 부품 산업 발전 동향을 분석하고 기업의 핵심 경쟁력 육성을 위한 미래 발전 방향을 제시
- 자동차 부품 산업 및 산업사슬 경쟁력 분석을 통해 자동차 부품 기업 동향을 소개하고 동력배터리 응용, 수소에너지 활용,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 자율주행 등 주요 산업 이슈에 관한 미래 발전 방향을 분석
* (software-defined vehicle) 소프트웨어를 통해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차량
◎ 글로벌 자동차 부품 시장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로 접어들며 영업이익이 팬데믹 발생 이전 수준까지 반등하는 등 빠른 회복세를 표출
- 글로벌 100대 부품 기업의 순이익률이 ’19년 5.3% → ’20년 2.6% → ’21년 6.1%, 매출총이익이 ’19년 3,161억 위안 → ’20년 1,333억 위안 → ’21년 3,272억 위안으로 변화하면서 ’21년 시장은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19년 수준까지 회복
- 미·중 기업이 제품 업그레이드 등을 통해 매출 제고를 도모하는 반면, 일본 기업은 엔화 약세에 따른 원자재 가격 급등, 다운스트림 OEM 공급망 변화 등으로 실적 악화 위기에 직면
- 각국 정부는 자동차 부품 기업이 신에너지를 적극 활용하고 스마트 자율주행 소프트웨어·하드웨어 솔루션 업그레이드 R&D 투자를 확대하도록 지원
◎ 중국 자동차 부품 산업은 글로벌 시장 발전 추이에 따른 급성장 기회를 포착
- ’19~’21년 기준 ▲(중국 자동차 부품 기업 규모) 12,612억 위안 → 13,177억 위안 → 14,780억 위안 ▲(총이익) 334억 위안 → 453억 위안 → 535억 위안으로 꾸준히 증가
- 신에너지, 경량화, 소프트웨어 정의 자동차 등 분야에서도 괄목할 만한 성과를 도출
◎ 자동차 부품 산업사슬의 차별화 및 경쟁력 제고를 위한 R&D 확대, 조직력 강화, 자본력 제고 등의 조치를 도입하고 지역 현지화 전략·부품 국산화·리스크 관리로 유연하고 복원력 있는 공급망을 조성함으로써 산업사슬 경쟁력을 업그레이드해야 한다고 강조
- R&D 투자 확대를 통한 핵심 기술 개발, 독자적 특허 역량 강화, 조직 구조 최적화, 혁신 지원적 조직 구조 및 스마트제조 관리 체계 구축을 바탕으로 업무 운영 효율을 제고
- 자본시장 이용도를 높여 경영을 효율화하는 ‘자본화 운영(资本化运作)’을 통해 공급망 안전성 보장, 해외 투자 가속화, 생산 능력 확장, 연구개발 분야 단점 보완을 추진
- 산업사슬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존 고객 대상 서비스를 확대하고 새로운 공정 기술 발굴 및 애프터마켓 서비스 범위 확장 차원의 전환 기회를 포착
(참고 : 罗兰贝格, 2022全球汽车供应链核心企业竞争力白皮书, 2022.09.16.)
* 관련링크
http://www.199it.com/archives/1499054.html
- 다음글[2022년 20호] (산업·기술동향) 기업 디지털화 발전 방향 분석 (中 알리바바클라우드, 9月)
- 이전글[2022년 20호] (산업·기술동향) 중국 제조업·서비스업 악화 예상 (日 제일생명경제연구소, 9.30)
- 담당부서 :
- 담당자 :
- 연락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