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정책간행물
[2022년 24호] (정책동향) 유럽 드론 전략 2.0 (歐 EC, 11.29)
- 담당부서 :동향조사연구팀
- 담당자 : 홍천택
-
연락처 : 02-3485-4033 - 분류 : 산업기술 동향워치
◎ EU 집행위원회(EC)가 기존의 드론 전략과 정책을 종합·개선한 「유럽 드론 전략 2.0」을 발표하고 드론 산업 미래 비전과 향후 추진 과제를 명시
- (배경) 집행위는 「지속 가능하고 스마트한 모빌리티 전략(SSMS)」(’20.12)을 통해 교통·운송 산업의 지속 가능·스마트·복원력 있는 변화를 추진하며 ’22년 말까지 드론 전략 2.0 수립하겠다는 방침을 공표
- (개요) 유럽의 대규모 상업용 드론 운용을 뒷받침하기 위한 산업 비전과 ▲드론 서비스 시장 구축 ▲드론 산업 역량 및 시너지 강화의 2대 영역에 대한 19개 이행 과제를 제시
▘유럽 드론 산업 2030 비전과 이행 과제▗
구분 | 주요 내용 | |
2030 비전 | ∙ ’30년까지 EU 시민, 기관, 회원국, 산업 등 다양한 민간·국방 분야 편익 창출에 드론이 활용되고, 드론 관련 생태계가 EU 시민 생활의 일부로 발전 ∙ 민간-국방 산업에서 드론 시너지가 발현되고, 경쟁력 있는 유럽산 드론 기술을 활용하여 유럽의 전략적 자율성을 강화 ∙ 드론 생태계를 통해 고용 창출, 유럽 기술 노하우 증진·보호, 유럽 기업 및 경제 성장 기회 발생 | |
이행 과제 | 드론 서비스 시장 구축 | ∙ 드론 및 유인 전기수직이착륙기(eVTOL)의 운영 통합을 목적으로 「표준화된 유럽항공규칙(SERA)」, 항공교통관제/항행서비스 규정을 개정 ∙ 통합 통신·항법·감시(CNS) 기술에 대한 공동 연구 증진 ∙ 저위험~중위험 항공 관제를 위한 유럽의 신규 표준 시나리오 채택 ∙ 드론 운영 관련 인증 카테고리 규칙 도입 ∙ EU항공안전청(EASA) 기본 규정에 따라 수직이착륙장(vertiport) 설계·운영 규칙 채택 ∙ 드론 운영업체 면허와 관련된 경제적·재무적 요건 마련 ∙ 혁신항공모빌리티(IAM) 구현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 구축 자금 지원 ∙ 수직이착륙기(VTOL) 조종사의 훈련·역량 요건 마련 |
드론 관련 민간/안보/ 국방 산업의 역량 및 시너지 강화 | ∙ 드론 및 드론의 영공 통합 분야 연구·혁신(R&I) 자금 지원 ∙ 민간 및 국방 조치 간의 시너지 증진을 목표로, 민군겸용 R&I를 지원하는 일관된 접근방식을 보장하기 위해 기존 자금조달 프레임워크 개정을 검토 ∙ R&I 촉진을 위한 우선 추진 영역 식별, 기존의 전략적 종속성 감축 등을 목적으로 전략적 드론 기술 로드맵을 개발 ∙ 드론 운영용 무선 주파수 공급을 위해 EU 관계 기관 간 조정 진행 ∙ 민간-방위 드론 테스트 센터를 위한 EU 네트워크 구축 ∙ 군사적 유스케이스를 촉진할 수 있는 민간 드론 운영 관련 신규 표준 시나리오 수립 ∙ 무인기 대응 시스템(counter-drone) 패키지 채택 ∙ 항공 당국·공항이 드론으로 인한 위험에 유연하게 대처하도록 항공 보안 규칙 개정 ∙ 자율적인 ‘European Trusted Drone’ 라벨의 기준 정립 |
(참고 : EC, European Drone Strategy 2.0, 2022.11.29.)
* 관련링크
https://transport.ec.europa.eu/system/files/2022-11/COM_2022_652_drone_strategy_2.0.pdf
https://ec.europa.eu/commission/presscorner/detail/en/ip_22_7076
https://ec.europa.eu/commission/presscorner/detail/en/qanda_22_7077
- 다음글[2022년 24호] (정책동향) 플랫폼 인더스트리 4.0의 ‘매뉴팩쳐링-X’ 백서 (獨 PI 4.0, 12.8)
- 이전글[2022년 24호] (정책동향) 바이오 기반 플라스틱에 대한 EU 정책 프레임워크 (歐 EC, 11.30)
- 담당부서 : 기술동향조사실
- 담당자 : 정휘상
- 연락처 : 02-6009-35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