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정책간행물
[2022년 20호] (산업·기술동향) IMD 세계 디지털 경쟁력 평가 (瑞 IMD, 9月)
- 담당부서 :동향조사연구팀
- 담당자 : 홍천택
-
연락처 : 02-3485-4033 - 분류 : 산업기술 동향워치
◎ 스위스 국제경영연구소(IMD) 세계경쟁력센터(World Competitiveness Center)가 ’22년 IMD 세계 디지털 경쟁력 순위*를 발표
* (IMD World Digital Competitiveness Ranking) ’17년부터 매년 발표되는 지표로 기업·정부·사회의 경제적 변혁을 위한 핵심 동인으로서 디지털 기술을 채택하고 탐색할 수 있는 63개국의 역량과 준비 상태를 측정
- 지식·기술·미래 준비도의 3대 분야, 9개 세부 부문*으로 구분되는 54개 지표를 바탕으로 각국의 디지털 경쟁력을 평가
* ▲(지식) ①인재 ②훈련 및 교육 ③과학 집중도로 구성되며 신기술의 발견·이해·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무형의 인프라를 평가 ▲(기술) ④규제 프레임워크 ⑤자본 ⑥기술 프레임워크로 디지털 기술 발전 촉진 역량을 평가 ▲(미래 준비도) ⑦적응력 ⑧비즈니스 민첩성 ⑨IT 통합으로 정부·기업·사회 전반에서 기술이 채택되는 수준을 평가
◎ 금년 디지털 경쟁력 순위 분석 결과, 지난해 4위였던 덴마크가 처음으로 선두를 차지했으며 미국 2위, 스웨덴 3위, 싱가포르 4위를 기록
- 덴마크는 미래 준비도 분야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고, 비즈니스 민첩성과 IT 통합 부문에서 1위, 적응력에서 5위에 안착
※ ▲고등교육 성취도(26위) ▲과학 분야 학위 소지자(38위) ▲여성 학위 소지자(24위) 등 ‘지식’ 분야 세부 지표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성과를 도출
- 지난해 1위였던 미국은 기술 분야(’21년 4위 → ’22년 9위)를 중심으로 전반적인 하락세를 나타내었고, 규제 프레임워크와 기술 프레임워크 부문에서 각각 12위, 13위를 기록
※ 그 외 ▲(스웨덴) 과학 집중도(2위), 규제 프레임워크(2위), 교육·훈련(4위) 등 전 부문에서 10위 안에 안착 ▲(싱가포르) 기술 분야에서 1위를 기록한 데 이어 부문별로 규제 프레임워크(1위), 기술 프레임워크(2위), 인재(3위)에서 높은 순위 확보
◎ 한국은 지난해 12위에서 올해 8위로 4계단 상승했으며, 특히 미래 준비도 분야 순위에서 덴마크에 이어 2위를 차지
※ 부문별 세부 지표의 경우 ▲전자참여 지수(1위) ▲인터넷 소매 매출액(1위) ▲전자정부(2위) ▲R&D 총 지출(2위) ▲계약 실행(2위) ▲인구 대비 R&D 인력(3위) ▲고등교육 성취도(4위) 등에서 좋은 평가를 획득하였으나, ▲국제경험(59위) ▲여성 연구원(53위) ▲외국인 고숙련 직원(49위) ▲기술 개발 및 적용(48위) ▲금융·재정 서비스(47위) ▲공공·민간 파트너십(46위) 등은 취약한 것으로 평가
(참고 : IMD, IMD World Digital Competitiveness Ranking, 2022.09.; Denmark excels in ranking that measures how well economies are exploring new tech, 2022.09.22.)
* 관련링크
https://www.imd.org/centers/world-competitiveness-center/rankings/world-digital-competitiveness/
https://www.imd.org/news/updates/denmark-excels-in-ranking-that-shows-economies-exploring-new-tech/
- 다음글[2022년 20호] (산업·기술동향) 반도체 제조 부문의 노동력 문제 대응 방향 (美 CSIS, 10.6)
- 이전글[2022년 20호] (이슈포커스) 5G 기술을 활용한 환경 피해 감축 방안과 주요 사례 (美 ITIF, 9.27)
- 담당부서 :
- 담당자 :
- 연락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