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대전환의 미래를 선도하는 혁신성장 플랫폼

  • HOME

정책간행물

[2022년 11호] (산업·기술동향) G7 회원국의 중공업 부문 탄소중립 달성 방안 고찰 (IEA, 5月)

2022-06-15View. 201
  • 담당부서 :동향조사연구팀
  • 담당자 : 홍천택
  • 연락처 : 02-3485-4033
  • 분류 : 산업기술 동향워치

◎ 국제에너지기구(IEA)가 G7 기후·에너지 장관회의(’22.5)를 앞두고 중공업 부문 넷제로 달성과 관련된 핵심 영역을 파악하고 CO2 저감 정책 개발을 위한 권장사항을 제언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G7 회원국의 비중과 리더십, 중공업 부문 화석 연료 의존도를 고려할 때, 해당 국가들이 글로벌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위해서는 중공업 부문의 탄소 배출량에 초점을 맞춘 정책이 필요

※ G7 회원국은 글로벌 경제의 40%, 에너지 수요의 30%, 에너지 시스템 CO2 배출량의 25%를 점유하고 있으며(’20), 중공업 부문의 경우 회원국 석탄 사용량의 15%, 석유·가스 사용량의 10% 이상을 차지

중공업 부문의 넷제로 달성 정책으로서 ▲산업 전환을 시작·유지하기 위한 정책 및 금융 메커니즘 툴박스 ▲준탄소중립적(near zero emission) 재료 생산과 관련된 실행 가능한 공통 정의 및 표준을 중점 검토

 

◎ 중공업에서 발생하는 배출량의 급격한 감소 없이는 넷제로 도달이 불가능하며, 해당 산업의 배출량 감축을 저해하는 장애요인 극복이 관건

- ▲산업 전환에 필요한 기술의 대규모 보급 준비 미흡 ▲배출 집약도가 낮은 새로운 생산 공정의 경우 높은 초기 비용 소요 ▲저수익으로 인한 선행 기업의 신기술 도입 저하 ▲중공업 시설의 긴 수명과 자본집약적 특성으로 인한 탄소배출 감축 제한

 

◎ 중공업 부문의 넷제로 전환에는 적절히 설계된 정책 프레임워크가 중요하며, IEA는 G7 및 기타 국가가 활용할 수 있는 정책적 고려사항을 도출

장기적이고 지속 가능한 전환 계획 개발 ②준탄소중립 산업 생산 기술 실증 프로젝트에 대한 재정 지원 ③준탄소중립 산업기술 및 관련 인프라 보급을 위한 재정 지원 메커니즘 개발 ④3~4년 내 준탄소중립적 재료 생산을 위한 차별화된 시장 창출 및 정책 수립

- ⑤산업 전환 지원을 목적으로 구속력 없는 국제산업탈탄소동맹 결성 검토 ⑥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7)에서 시멘트 부문의 혁신 확립 ⑦측정 표준 관련 기존 작업 통합, 표준의 목적 적합성 확충, 중복 표준·프로토콜 개발 방지

- ⑧부문별 특성을 고려하여 준탄소중립적 재료 생산을 위한 기준점(threshold) 설정 ⑨배출 집약도 감축을 위해 채택된 임시 조치에 가치를 부여해 수행 ⑩공통 정의에 대한 범위를 기존 공급망 및 새로운 공급망으로 확장

 ※ ③의 재정 지원은 ’30년까지 배출량이 제로에 가깝거나 곧 제로에 가까워질 것이 명확히 입증되는 생산만 해당 ⑩’22년 말까지 G7 회원국은 기준점의 상호운용성에 대한 작업을 통합해야 하며, 이를 통해 확립된 원칙을 기타 벌크 형태의 물질(bulk materials)에도 적용하도록 권고

 

(참고 : IEA, Achieving Net Zero Heavy Industry Sectors in G7 Members, 2022.05.)

 

* 관련링크

https://iea.blob.core.windows.net/assets/c4d96342-f626-4aea-8dac-df1d1e567135/AchievingNetZeroHeavyIndustrySectorsinG7Members.pdf

https://www.iea.org/reports/achieving-net-zero-heavy-industry-sectors-in-g7-members

https://www.iea.org/reports/achieving-net-zero-heavy-industry-sectors-in-g7-members/executive-summary

  • 담당부서 : 정책기획실
  • 담당자 : 한상영
  • 연락처 : 02-6009-3564
담당자에게 문의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