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대전환의 미래를 선도하는 혁신성장 플랫폼

  • HOME

사업공고

사업공고의 게시글 내용입니다.
지역산업위기대응 맞춤형지원사업 전남 여수시 수행기관 선정 공고
카테고리 사업공고
접수기간 / 상태 2025-07-24~2025-08-13
공고일 2025-07-24 조회수 719
작성자 채원형 문의하기 담당부서 지역산업전략실
연락처 02-6009-3664
첨부파일
  • 첨부파일 지역산업위기대응 맞춤형지원사업 전남 여수시 수행기관 선정 공고.hwpx(71KB)
  • 첨부파일 ★(붙임) 제출 서류 서식_최종.hwpx(144KB)
  •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5–542호

    지역산업위기대응 맞춤형 지원사업

    전남 여수시 수행기관 선정 공고

      

     『2025년 지역산업위기대응 맞춤형 지원』전남 여수시 수행기관 신규 선정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공고합니다.

      

    2025년 07월 24일

    산업통상자원부장관

      

      

      

    1. 사업목적

     ㅇ 글로벌 공급과잉 등으로 인한 지역의 주된산업 위기 및 지역경제 악화에 실효

         적 대응을 위한 맞춤형 기업지원 및 인력양성 

       * (근거법령) 「지역산업위기대응법」 제8조(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의 지정 등), 제15조(자금 지원 등)~

          제20조(지원사업의 연계ㆍ우선지원)

       * (관련규정) 지역산업지원사업 공통운영요령」

      

      

    2. 지원내용

     ㅇ 공모대상 : 산업위기지역 소재(전남 여수시, ‘25.5.1 지정) 시·도 내 지역혁신기관

         (대학, 연구소, 기관 등)으로 구성된 단독 또는 컨소시엄

     ㅇ 사업기간 : ’25. 9. 1. ~ ’25. 12. 31.(4개월)

     ㅇ 사업내용 : 산업위기지역의 주된산업 또는 이와 밀접한 전·후방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인력양성, 기업지원 등 수요맞춤형 지원 

     ㅇ 사업비 : ’25년 12.5억원*(정부출연금), 지자체 분담금 매칭(국비:지방비=7:3)

       * 기업지원(7.5억원), 인력양성(5억원)


      

      

    3. 세부 수행내용 

      

     1) 지역산업위기대응 맞춤형 기업지원

     ㅇ (지원대상) 산업위기지역 소재 주된 산업(전후방 포함) 관련 기업* 

       * 1. 「지역 산업위기 대응 및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특별법」제8조에 의해 지정된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소재 주된 산업 또는 이와 밀접한 전·후방 연관산업을 영위하는 기업

         2. 「지역 산업위기 대응 및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특별법」제10조에 의해 지정된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소재 주된 산업 또는 이와 밀접한 전·후방 연관산업을 영위하는 기업

         3. 산업위기지역을 포함하는 2개 이상의 시·군·구에 걸친 단일 산업단지 내 산업위기지역의 주된 산업 또는 

         이와 밀접한 전·후방 연관산업을 영위하는 기업

       ※ 각 지역별 위기산업 핵심 및 전후방 기업 중 경영위기 현황, 지역 위기산업 내 파급도, 위기 극복 가능성이 

           높은 기업을 우선 선정 

     ㅇ (절차) 지원사업 수행기관이 맞춤형 기업지원 프로그램 공고 및 지원기업 

         선정·지원

     ㅇ (주요 지원내용) 지역 위기산업 극복을 위한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 설계 및 운영

       * 각 산업위기지역별 수요조사 및 산업위기 현안에 따라 프로그램 설계 

    [기업지원 메뉴판(안)]

    지원

    구분

    목적

    지원프로그램

    지원내용 

    기술

    지원

    산업위기에 대응하여 사업재편 및 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술지원 

    ① 시제품제작

    제품 설계, 시험, 제작에 필요한 시제품 제작 지원

    ➁ 기술지도

    기술 지도를 통한 R&D 관련 애로기술 해결지원

    ③ 인증지원

    유망 제품의 성능 테스트 및 신뢰성 평가를 통한 인증 획득 지원

    ④ IPR&D전략지원

    특허전략 수립 및 특허 출원 지원을 통한 지재권 역량 강화 지원

    ⑤ 디지털전환 및  제품 고급화

    유망 제품의 성능 및 기능개선과 디지털전환을 통한 제품 경쟁력 강화 지원

    ⑥ 기술이전확산 

    유망기술 발굴 및 기술이전 중개를 통한 기업 경쟁력 강화 지원

    사업화지원

    기술개발 결과물을 활용 신성장동력 분야로의 진출을 위한 사업화지원

    ① 디자인

    제품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제품 디자인 개선 지원

    ➁ 마케팅

    잠재 바이어 발굴 및 매칭을 통한 시장 진출 지원

    ③ 전시회 

    전시회 참가를 통한 유망 제품 홍보 및 잠재바이어 발굴을 통한 매출 증대 지원

    ④ 신성장동력 사업화 컨설팅

    대상 기업의 내부 역량 및 제품 관련 산업 분석을 통한 중장기 사업화 컨설팅 지원

    ⑤ 네트워킹

    대상기업 및 산학연 교류협력을 통한 사업화 성과 확산 지원

    ⑥ 브랜드 연계

    대상 기업의 아이덴티티 및 경쟁사와의 차별성 도출을 통한 브랜드 전략 수립

    ⑦ 상품기획

    시장 분석을 통한 제품개발 및 전략 수립 지원

    ⑧ 수출지원

    잠재 바이어 발굴 및 제품 홍보를 통한 수출 활성화 지원

    ⑨ 샘플제작

    수요기업용 완성품 홍보 샘플 제작 지원


      

     2) 지역산업위기대응 맞춤형 인력양성 지원

     ㅇ (지원대상) 산업위기지역의 주된산업 또는 이와 밀접한 전·후방 산업관련 기업

           * 재직자 및 취업을 희망하는 구직자 

       * 1. 「지역 산업위기 대응 및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특별법」제8조에 의해 지정된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소재 주된 산업 또는 이와 밀접한 전·후방 연관산업을 영위하는 기업

         2. 「지역 산업위기 대응 및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특별법」제10조에 의해 지정된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소재 주된 산업 또는 이와 밀접한 전·후방 연관산업을 영위하는 기업

         3. 산업위기지역을 포함하는 2개 이상의 시·군·구에 걸친 단일 산업단지 내 산업위기지역의 주된 산업 또는 

          이와 밀접한 전·후방 연관산업을 영위하는 기업

       ※ 각 지역별 위기산업 핵심 및 전후방 기업 중 경영위기 현황, 지역 위기산업 내 파급도, 위기 극복 가능성이 

           높은 기업을 우선 선정 

     ㅇ (절차) 지원사업 수행기관이 맞춤형 인력양성 프로그램 공고 및 수혜자 선정·지원

     ㅇ (주요 지원내용) 산업위기 지역내 기업이 희망하는 전문인력 양성을 위하여 

         지역별로 기업 수요 기반의 맞춤형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 (교육내용) 산업내 수요조사 및 분석 결과에 따라 교육과정을 개발하며, 교육 내용을 즉시 활용할 수 있도록 

         실습형 프로그램을 필수적으로 포함

       * (교육시간) 산업별 요구하는 수준을 고려하여 탄력적으로 설계 및 운영 

    [맞춤형 인력양성 교육내용(안)]

    대분류

    주요 내용 

    산업 맞춤형 교육

    ○ 기업방문 맞춤형 인력양성 : 기업 수요 기반 교과정 개발 및 운영 

     - 기업이 희망하는 강사와 커리큘럼, 교재 기자재 등을 준비하여 기업 현장 방문형 교육과정 운영

    ○ 산업현장 기반기술 교육 : 지역 위기산업 관련 기반기술 특화 교육과정

     -  위기산업 관련 최신 기술 트렌드 및 비즈니스모델 등 기업관점에서의 위기극복을 위한 노하우 등 

    ○ 마케팅 및 품질관리 : 지역 위기산업 분야에 해당되는 마케팅, 품질관리, 생산성 향상, 기술경영교육 등 기업의 경영과 관련된 교육을 수행하는 유형

    ○ R&D 전략 교육 : 지역 위기산업 분야 내 연구개발전략, 특허 창출 전략 등 연구소 인력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실습형 프로그램

    ○ 직무 전문 교육 : 위기산업 내 SW, IT 관련 직무로의 전환을 위한 실습 위주의 교육과정 

     - 디지털 전환 시대에 필요한 IT 기술 교육, 컴퓨터 기초, 엑셀, 코딩, 빅데이터, 인공지능, 클라우드, UX/UI 디자인

    ○ 직업 전환 교육: 산업 구조 변화에 따른 전직 지원 교육, 전통 제조업→스마트팩토리 등

    ○ 구직자 현장실습 중점 교육 : 지역 위기 산업내 채용 계획 기업으로의 현장 실습형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4. 선정 계획

     ㅇ 평가주체 : 사업에 대한 전문성이 높은 산·학·연 전문가로 ‘평가위원회’를 구성·

        운영하되, 평가의 공정성을 위해 상피제 적용

       * 산학연 전문가는 산업계, 학계, 연구계 등 다양한 주체를 포함하여 구성

     ㅇ 평가방법 : 제출서류, 신청 자격 등 사전검토 후 서면 검토 및 대면 발표평가를 통해 

         최종 참여 대상 선정  

    추진절차

    시행기관

    추진일정(안)

    사업공고

    산업통상자원부/한국산업기술진흥원

    ’25. 7. 24. ~

    ‘25. 8. 13.

    과제 신청

    신청기관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5. 7. 24. ~

    ‘25. 8. 13.

    평가위원회 개최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5 8월 중

    평가결과 확정

    산업통상자원부

    ‘25 8월 중

    확정 통보 및 이의신청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신청기관 

    ‘25 8월 말

    신규 과제 확정

    산업통상자원부/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선정기관 

    ‘25 8월 말

    협약체결 및

    사업비 지급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주관기관

    ‘25 9월 

     ㅇ 선정기준 : 사업수행 계획의 타당성, 사업 목표 달성 가능성, 사업수행 및 관리

         능력 등 3개 평가 요소를 고려하여 수행기관 선정

    구분

    평 가 항 목

    배점

    사업 수행 계획의 타당성

    (30)

     사업 목표, 수행내용 및  추진 방법의 적절성

    10

     맞춤형 지원 내용 및 방법 설정시  기업수요 반영도

    10

     사후관리 방안의 구체성 및 현실성(지원기업, 교육생, 수혜자 대상) 

    10

    사업 목표 달성 가능성

    (35)

     맞춤형 기업지원 및 인력양성 사업  운영 계획의 구체성 및 현실성

    15

     수혜기업 지원수 및 인력양성 교육 수료율 등 성과지표 달성 가능성

    10

     지역의 주된산업 위기 및 지역경제 악화에 대응 등 지원 효과의 적정성

    10

    사업 수행 및 관리 능력

    (35)

     주관·참여기관의 관리·지원 역량 및 방법의 우수성

    15

     추진체계(기관 간 역할 분담 내용 포함) 및 일정의 적절성

    10

     주관·참여기관 참여인력의 적정성‧전문성

    10

    <산업위기대응 맞춤형 지원사업 성과지표>

    성과지표

    성과목표

    ’25목표치 

    산출근거

    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자료수집방법

    (또는 자료출처)

    수혜기업 지원 건수

    (단위 : 건)

    60

    자금 수요를 고려한 지원 건수

    시제품 제작, 시험인증 등  동 사업의  지원건수

    사업결과

    보고서

    인력양성

    교육 수료율

    (단위 : %)

    85

    자금 수요를 고려한 지원 건수, 신규지표 감안

    교육 수료자 수 /교육 신청자 수

    사업결과

    보고서

    기업 만족도

    (단위 : %)

    만족도 60 이상

    신규지표임을 감안하여 보통 이상인 60점을 설정

    수혜 기업 대상  만족도 조사

    사업결과

    보고서

        

    5. 신청방법

    구 분

    내 용

    공고기간

    (접수기간)

    ▪ (온·오프라인) 2025. 07. 24(목) 09:00 ∼ 2025. 8. 13(수) 17:00 까지

    서식교부

    서식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홈페이지(www.kiat.or.kr) 사업공고에서 다운로드 가능

      - 홈페이지 → 사업·자료 → 사업공고 → 동 사업 공고 선택

    접 수 처

    ▪KIAT 과제관리시스템(www.k-pass.kr)에 온라인 등록 후 접수번호 확인

      ※ 오프라인 신청서류 제출처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지역산업전략실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305 한국기술센터 5층)

    접수절차

    ① (통합회원가입) 연구책임자 및 연구개발기관이 KIAT과제관리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등록이 되어 있지 않는 경우 신규 회원 가입

    ② (온라인 등록) 주관연구개발기관 로그인→과제신청→공고조회→동 사업 공고 선택, 

         주관연구개발기관 연구책임자가 내용 입력

    ③ (파일 업로드) 사업 공고에 첨부된 연구개발계획서 양식 등을 다운받아 해당 내용을 

         작성한 후, KIAT 과제관리시스템(www.k-pass.kr) 업로드

      - 연구개발계획서는 HWP파일로 제출하되, 표지 하단에 인감 날인 스캔본을 HWP파일에 

         포함하여 제출

      - 연구개발계획서 이외의 첨부서류는 작성 후 스캔하여 PDF파일로 제출

    ④ (최종제출) 모든 서류 업로드 후 반드시 최종제출 버튼을 눌러서 신청완료해야 함

      ※ 최종제출 버튼을 누른 후에는 수정이 불가하며, 접수증은 출력 후 보관

         * 오프라인 제출서류 : 사업계획서 10부, K-PASS 접수증 1부, 필수 제출서류 각 1부

    유의사항 

    ① 마감일에는 접속자 과다로 인해 전산등록이 지연되거나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니 

        반드시 시간적 여유를 갖고 준비 (마감시간에 작성 중인 경우도 접수 불가)

    ② 접수 마감일 16:59까지 ‘완료 및 제출’하지 않는 경우 접수 불가

    ③ 온라인 등록시 과제 내용 및 연구개발비(단위)에 대한 오기가 없도록 주의

    ④ 필수 입력사항을 공란 또는 허위로 작성하는 경우 사전 지원제외 처리 가능

    ⑤ 전산등록한 연구책임자의 E-mail 및 휴대폰번호를 통해 평가일정 등의 안내가 실시되기 

       때문에 연락처의 정확한 입력 필요

      ※ 잘못된 담당자, 전화번호, 이메일 등을 기재하여 발생한 평가 안내, 결과 통보 등 

          미수신(연락 불능)의 책임은 신청기관에 있음

    ⑥ 필요시 온·오프라인 추가서류 제출을 요청할 수 있으며 제출서류는 반환하지 않음

    기    타

    ▪신청시 KIAT과제관리시스템(www.k-pass.kr)의 우측 상단 이용매뉴얼 참조

    ▪관련 법령 및 규정은 반드시 숙지 및 준수하여 신청서류 작성

     ㅇ 제출서류 : 사업계획서 및 붙임, 별첨 자료 등 (【붙임 1】참조)

    연번

    구분

    제출서류

    부수

    비고

    1

    필수

    사업계획서

    10부

    원본 1부, 사본 9부

    2

    K-PASS 접수증

    1부

    K-PASS에서 출력

    3

    개인정보·과세정보 이용·제공 동의 및 청렴서약서

    1부

    연구책임자 및 참여연구자 모두

    4

    수행기관의 신청자격 적정성 확인서

    1부

    기관별 1부

    5

    수행기관 대표의 참여의사 확인서

    1부

    기관별 1부

    6

    지자체 지방비 매칭 확약서

    1부

    1부

    7

    사업자등록증 사본

    1부

    기관별 1부

    8

    법인등기부 등본

    1부

    해당시 기관별 1부

     ㅇ 유의사항

      - 본 사업의 공고 내용에 부합하지 않거나, 허위사실을 기재한 경우 신청과제 

        사전검토 시 사전 지원 제외될 수 있음

      - 본 사업은 실시간통합연구비관리시스템(RCMS)적용 대상 사업임

        * RCMS : 금융권와 연계한 연구비 사용내역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http://www.rcms.go.kr)

      - 본 사업비를 활용하여 유형자산 및 장비 구입을 할 수 없음

      - 기타 지적재산권 및 발생품의 귀속, 보안등급, 참여연구원 참여율, 연구윤리 

        관련사항 등은 ‘관련 규정’에 따름   

      - 시스템 접수시 접수마감 시간 초과에 따른 미접수 책임은 신청기관에 있음

     ㅇ 문의처

      - 소관부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경제진흥과 (☎ 044-203-4428)

      - 전담기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지역산업전략실 (☎ 02-6009-3664)

      - 온라인 신청(K-PASS) 관련 문의(☎ 02-6009-4374)

        

    【붙임】제출 서류 서식 1부.

    • 담당부서 :
    • 담당자 :
    • 연락처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