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대전환의 미래를 선도하는 혁신성장 플랫폼

  • HOME

사업공고

사업공고의 게시글 내용입니다.
제2기 산학협력확산사업 신청결과
접수기간 / 상태 2005-07-01~2005-07-01
공고일 2005-07-01 조회수 77
작성자
 

제2기 산학협력확산사업 평균 경쟁율 3대1

 


교육인적자원부, 산업자원부 및 노동부 3개부처가 공동으로 시행하는 제2기 산학협력확산사업 접수 결과 평균 경쟁률은 3대 1에 이른다


【표 1】  사업별 신청현황

사업명

신청현황

최종선정

경쟁률

최우수 실험실 지원사업

47개 대학에서 150과제

50개 

3대 1

산학협력중심 전문대학육성사업

10개 권역에서 29개 전문대학

10개

3대 1

성장동력 특성화대학 지원사업

64개 전문․기능대

20개

3.2대 1

산학협력 우수실업고 지원사업

70개 실업고

20개

3.5대 1

교육훈련혁신센터 지원사업

10개 산업별인적자원개발협의체

4~5개

2.5대 1

※산학협력중심대학육성사업은 7월15일 접수 마감


  ㅇ 이번 사업은 5월 10일에 사업공고, 5월 16일에 교육문화회관에서 사업설명회를 개최하여 6월24까지 사업신청을 받았다

     향 후 일정은 7월중에 사업별 1․2차 평가를 거쳐 주관기관을 선정할 예정이다


【표 2】  사업별 평가일정

사업명

 평가일정

문의처

1차 평가

2차 평가

최우수 실험실 지원사업

7. 4 ~ 7. 5

7. 14 ~ 7. 15

한국산업기술재단 산학협력팀

02-6009-3120~7

산학협력중심대학 육성사업

7. 27 ~ 7. 29

8. 4 ~ 8. 5

한국산업기술재단 산학협력팀

02-6009-3120~7

산학협력중심 전문대학 육성사업․

성장동력 특성화대학 지원사업

7. 11 ~ 7. 13

7. 20 ~ 7. 22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산학협력연구팀

02-3485-5052

7. 11 ~ 7. 14

7. 20 ~ 7. 23

한국산업인력공단 인력개발지원국

02-3271-9493~5

산학협력 우수실업고 지원사업

 7. 15 까지

7. 21 ~ 7. 22

한국산업기술재단 산학협력팀

02-6009-3120~7

교육훈련혁신센터 지원사업

7. 13 ~ 7. 14

-

한국산업인력공단 인력개발지원국

02-3271-9493~5

평가일정은 사업별 평가대상 기관 수 및 이동거리 등을 고려하여 단축 또는 연장 가능


□ 제2기 산학협력확산사업은 산업계의 인력 수요에 부응하는 우수 기술인력 양성을 위해 산업자원부 307억원, 교육인적자원부 300억원, 노동부 255억원을 투입하여 산학협력중심대학, 최우수 실험실, 산학협력중심전문대․성장동력 특성화, 산학협력우수실업고 및  교육훈련혁신센터 등 6개 세부사업을 지원한다


  ㅇ 최우수 실험실 지원사업

    - 차세대 성장동력산업 중심의 기술분야별 산학협력형 핵심연구인력 양성 및 연구기반 마련을 위하여 대학원 실험실을 선정해 연간 1억원 안팎씩 올해 50억원을 지원


  ㅇ 산학협력중심대학 육성사업

    - 지난해에 선정된 13개 산학협력 중심대학(일반대 8개, 산업대 5개)을 대상으로 계속 지원함과 동시에, 1차년도 사업추진실적, 차세대분야 특화계획 등을 평가하여 40억원 차등지원



  ㅇ 산학협력중심 전문대학 육성사업

    - 현장적합성 있는 인력양성과 산학협력체제 구축 및 확산 기능을 담당할 우수 전문대학․기능대학을 10개 권역별로 1개 대학을 선정하여 대학당 연간 8억원 내외로 지원


  ㅇ 성장동력 특성화대학 지원사업

    - 성장동력산업분야의 경쟁력있는 중간기술인력 양성을 위해 전문대학․기능대학을 선정해 대학당 연간 10억원 내외로 지원


  ㅇ 산학협력 우수실업고 지원사업

    - 차세대성장동력분야 산학협력형 전문생산인력 양성을 위한 우수 실업계 고교 20곳을 선정하여 2억원 내외씩 연간 40억원을 지원


  ㅇ 교육훈련혁신센터 지원사업

    - 산업별 인적자원개발협의체를 중심으로 산업․업종별 인력수급현황, 성장동력분야 교육훈련 지원프로그램 설계․교육을 위해 연간 5억원 내외씩 20억원을 지원


정부는 이 사업을 통해 연간 2만5천명이 참여하고, 올해부터 2008년까지 4년동안 3만여명의 산업현장 밀착형 인력이 배출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담당부서 :
  • 담당자 :
  • 연락처 :
TOP